본문 바로가기
Oracle SQL/기초 SQL

오라클 버전 11 기본 세팅(hr/scott 데모계정)

by 호두빵 2021. 5. 25.

오라클을 설치하고 나면 컴퓨터를 킬 때마다 우리가 원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시작되어 실행되도록 설정되어있습니다. 작업을 할 때만 오라클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설정을 바꿔줘야 합니다. 윈도우 10 기준으로 왼쪽 제일 아래 창문같은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컴퓨터 관리(G)가 뜹니다. 그것을 클릭합니다. 

하단에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을 클릭하고 서비스를 누르면 현재 내 컴퓨터에 있는 서비스 목록이 쭉 나옵니다. O로 시작되는 서비스를 찾아 내려가보면 OracleServiceXE, OracleXETNSListener 가 나옵니다. 둘 다 시작 유형이 자동으로 되어있었을 것입니다. 상단의 이미지는 제가 이미 바꿔놓고 캡쳐해놓은거라 수동으로 되어 있습니다. 

먼저  OracleServiceXE를 클릭해서 일단 서비스를 중지하고 시작유형(E) : 자동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수동으로 바꿔줍니다. 적용을 누르고 확인을 눌러서 빠져나옵니다. OracleXETNSListener 역시 마찬가지로 똑같이 진행해줍니다. 그러면 이제 컴퓨터를 킬 때마다 자기가 혼자서 시작되지 않고 우리가 실행하고자 클릭했을 때만 작동하게 됩니다. 

 

제대로 설치를 마쳤다면 Oracle Database 11g Express Edition  폴더 안에 여러 개가 뜰 텐데, 그 중 Start Database를 눌러볼까요?

이렇게 화면이 뜨면 잘 설치가 되었고, 데이터베이스가 시작되었다는 뜻입니다. > 옆에 sqlplus를 입력하면 버전이 뜨면서 DB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. 그 후부터는 Run SQL Command Line에서 옮겨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. 

일단 처음 켜면 SQL> 다음에 커서가 반짝이면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립니다. 여기서 연결하겠다는 뜻으로 conn을 입력해줍니다. 오라클 설치시에 입력했던 user-name과 password를 입력해줍니다. 저는 system으로 했습니다. 암호를 틀리지 않고 잘 입력했다면 Connected가 뜹니다. 다음으로는 hr과 scott 계정의 연결입니다. 이 두 계정은 오라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학습용 계정으로 이 계정에 있는 테이블과 데이터를 통해 오라클 실습이 가능합니다. 이것들은 데모계정으로, 우리가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다뤄보고 싶어도 갖춰진 데이터가 없어서 하나하나 다 입력을 하고 만들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이 계정을 사용하면 그러한 번거로움을 벗어날 수 있겠습니다. 

 

다시 conn을 누르고 user-name에 hr, password에도 hr을 입력하면 알아서 잘 될 줄 알았건만 어쩐지 ORA-28000이라는 에러가 뜹니다. 계정이 잠겼다고 합니다. 계정을 풀어줘야겠습니다. 다시 처음에 접속했던 system계정으로 돌아갑니다. 그 상태에서 user를 hr로 바꿔보겠습니다. alter user hr, 즉 system유저에서 hr유저로 바꾸겠다는 뜻입니다. 두 번째 identified by hr은 hr이라는 비밀번호로 확인됐다는 뜻이고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계정을 unlock해줍니다. 그러면 User altered가 뜨면서 바뀌게 됩니다. 이후에 hr계정에 연결하면 잘 연결이 됩니다. 그리고 나서 다시 또 system유저 계정으로 다시 돌아옵니다. 

마지막으로 scott계정에 연결하겠습니다. 이번에는 아예 주소값을 주겠습니다.  scott.sql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곳은 아래와 같습니다. @을 입력하고 그 다음 경로를 적어주면 scott.sql을 불러올 수 있겠습니다. 그러면 또 user가 scott으로 변경되겠죠. 마지막으로는 다시 hr로 돌아와서 연결을 마치면 됩니다. 

 

 

이제부터는 Oracle SQL Developer 를 켜서 써보겠습니다. 맨 처음으로 들어가서 메뉴 하단에 접속 아래에 병원 표시처럼 초록색 +가 있는데 그것을 클릭해봅니다. 

파일을 다운 받을 때 만들었던 system user로 먼저 만들어주고 테스트를 눌러 왼쪽 하단에 상태 : 성공이 뜨는지 확인합니다. 그 후 접속을 누르면 됩니다. 물론 여기에는 아무런 데이터도 입력해두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것도 없습니다. 마찬가지로 hr과 scott도 똑같은 방식으로 테스트 후 접속을 해주면 완성입니다. 

 

마지막으로 실제로 오라클을 쓰기 편하도록 폰트를 조금 키워주고 몇 번째 행이 에러가 난 건지 손쉽게 확인하기 위해서환경설정을 바꿔주겠습니다. 메뉴에 도구를 누르고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.하단에 코드 편집기가 나타납니다. 폰트 크기를 키우는 것은 글꼴을 눌러서 내가 원하는 사이즈로 맞춰주면 됩니다. 

행 번호를 표시하게 하는 것은 행 여백을 클릭하고 제일 위에 행 번호 표시(N)을 클릭하면 완성이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