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ql select3

SQL SELECT문으로 이것저것 다 해보기(3) / ORDER BY, GROUP BY 데이터를 그냥 마구잡이로 보여주지 않고 어느정도 정돈된 상태로 보고 싶은 마음이 있을 것입니다. 널부러져있는 옷가지보다는 착착 잘 정돈된 옷이 더 보기가 좋듯 말이죠. SQL에서는 데이터를 어떻게 정돈할까요? 바로 ORDER BY를 사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방식대로 정렬이 가능합니다. SELECT FROM WHERE ORDER BY ORDER BY는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며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. 1. ORDER BY (ASC / DESC / NULLS FIRST) SELECT ename, sal FROM emp ORDER BY sal ASC; --월급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리 SELECT ename, sal FROM emp ORDER BY sal DESC; --내림차순으로 정리 SELECT .. 2021. 5. 27.
SQL SELECT문으로 이것저것 다 해보기(2) / 비교연산자 앞서 1편에서는 테이블에 있는 값만 우리가 쏙쏙 골라서 빼왔다면 이번에는 조건을 걸어서 빼오는 것을 연습해보겠습니다. 자바에서는 ~하는 것을 찾을 때 IF문을 썼는데요 오라클 SQL에서는 WHERE 조건절을 사용합니다! SELECT FROM WHERE 조건절 기본 형식은 위와 같습니다. 그런데 우리가 조건절을 쓸 때 , ~인 것만 찾아주세요. 이렇게만 쓰지 않죠? ~보다 크거나 작거나 ~이거나 아니거나 등등 여러가지 조건을 넣어야합니다. 그런 경우에 비교연산자를 사용합니다. 비교연산자(> = =9000; --이름이 Shanta보다 더 큰 이름 SELECT first_name FROM employees WHERE first_name>'Shanta'; --이름의 첫 스펠링이 J보다 큰 이름 SELECT.. 2021. 5. 26.
SQL SELECT문으로 이것저것 다 해보기(1) 기본적인 형식 : SELECT (값, 컬럼명, 함수, SUB QUERY) FROM (테이블명, SUB QUERY) SELECT문을 쓸 때에는 기본적으로 어디서 뭘 가져와라~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SELECT ~ FROM ~을 씁니다. 여기서 SUB QUERY라는 친구가 조금 낯설게 느껴지는데요, 서브쿼리란 하나의 SQL문장 안에 들어있는 또 다른 SQL문을 이야기합니다. 즉 메인 쿼리는 SELECT문이 되고, 추가적으로 조건을 더 줄 때 서브쿼리를 쓰는 것이지요! 이번에는 저번에 만들어뒀던 scott 계정의 employees 테이블로 실습을 해보겠습니다. --현재 계정 (scott)의 모든 테이블 정보 나타내기 SELECT * FROM TAB; 일단 우리가 요리조리 만져볼 테이블의 이름과, 타입 그리고 .. 2021. 5. 26.